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시간관리
- human doing
- 생산성
- 일정
- 타임푸어
- 시간 가계부
- human being
- 균형
- 캘린더
- 시간낭비
- 태스크 관리
- 플래너
- 태스크관리
- 업무 플로우
- 일정관리
- 삶의질
- 공부관리
- 성과관리
- 삷의 질
- 원플래너
- 밸런스
- 할일 관리
- 삶의 균형
- 일정 관리
- 성과 관리
- 삶의 설계
- 시간 관리
- 일의 맥락
- 워라밸
- 매일
- Today
- Total
목록Doing (2)
원플래너 - 하루 10분으로 삶의 균형을 찾으세요!
Human being과 Human doing의 구분하에서, 어제의 일과를 생각해 보세요. 둘간의 밸런스가 맞으시나요? 소중한 일과 필요한 일이 서로 균형이 맞는 삶이 이상적인 것 같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그 균형이라는 것이 천편일률적일 수는 없겠지만요. 하지만, 우리가 사는 것이 피곤하고 허무하게 느껴지는 것은 대부분 우리 대다수가 Human doing에 집중하고 있어서 일 겁니다. 저는 어제 7시에 일어나 출근을 하고, 9시부터 12시까지 보고서를 작성했고, 2시부터 6시까지는 회의를 했습니다. 이후, 퇴근을 해보니 8시가 조금 넘었네요. 식사하고 시계를 보니 9시 30분입니다. 이래 저래 TV를 보며 시간을 보내다 11시쯤 다음날 일에 대해 생각하다가 잤습니다. 이렇게 적으니 ..
Human being과 Human doing Human being은 사람, 인류라는 뜻으로 알고 있는데, Human doing은 뭐지? 아마도 Human being은 존재 자체를 즐기는 것에, Human doing은 무언가를 하는 것에 의미를 두는 것 같습니다. Human doing이란 말이 현대인의 여유없는 행동 위주의 삶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약간은 부정적인 의미를 갖고있지만, Being하기 위해서는 Doing이 필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존재 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분을 해결해야 하는데, 많은 사람이 Doing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중요한 것은 Being만 해야 한다는 것 보다는 둘 사이의 밸런스일 것입니다. Doing에 보통 사회적으로 매력적이 있는 단어들이 많지만, 그러한 것들만 좇다보면..